UX(8)
-
유저 니즈에 대한 분석
인지적니즈(이성적,생각) / 감성적 니즈(감성적,느낌) / 신체적 니즈(신체적,물리적) Abraham Maslow - Hierachy of Needs생존적 욕구 - 안전 욕구 - 사랑/소속감 욕구 - 자아만족/인정욕구 - 자아실현 욕구
2013.09.25 -
UX 개념에 대한 오해 이해
UX는 유저빌리티(사용성) 보다 더 큰 개념이다..사용성 이외에도 유용성/신뢰성/감성/의미성 등 다른 개념도 포괄한다. UX는 UI디자인 보다 큰 개념..UI디자인은 의사소통을 위한 표현,내용,배치 등에 관한 것이라면,UX디자인은 인터렉션디자인,정보설계,서비스디자인 등 다른 개념도 포괄하여 디자인한다. UX는 하나의 완전한 방법론이다.사용성테스트나 리서치 등만으로 사용하면 의미가 반감된다. UX는 기술과는 다른 개념이다.UX에 있어서 기술은 하나의 툴(?) 정도라 할 수 있을만큼 더 포괄적인 개념. UX에 있어서 객관적인 단순 '유저'의 개념은 의미가 없다.사회문화적 배경,상황에 대한 의미를 포함한 유저의 이용습성이 중요하다.
2013.09.25 -
UX 역할자들
1. 프로젝트 매니저 2. 리서치 전문가 (인문학/문화인류학 등)3. 서비스 디자인 전문가4. 정보설계 전문가(IA)5. UI 디자인 전문가6. 테스터 (각종 디바이스/툴에 대한 해박한 경험) 목표수립 - 상황분석 - 리서치 - 모델링 - UX전략 - 서비스디자인 - 프로토타이핑 - 테스트 - 구현
2013.09.25 -
UX 성공요인
UX 성공요인 1. 확실한 목표2. 구체적 이슈3. 적절한 설문 대상자4. 설문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관찰, Context, 행동 등)5. 체계적 기법6. 풍부한 리소스 (트랜드 등)7. 활발한 프로토타이프
2013.09.25 -
UX 관련 용어 정리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입출력에 관련된 모양과 내용등을 디자인하는 것이며, 인터렉션 디자인은 유저들의 행동 및 시스템 절차 등을 설계하는 것이다. IA(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설계 : 1975년 Richard Saul Wuman"데이타 패턴을 체계화하고, 복잡한것들을 명확하게 한다." HCI(Human Computer Intercation) :전통적 개념 - 개인과 컴퓨터간의 상호작용 연구 HCI 2.0 - 사회,집단,개인과 컴퓨터,정보기기,디지털제품/서비스/컨텐츠 간의 상호작용 연구 에스노그라피 (Ethnography)문화인류학의 한부류로서 인류학의 보고서 형태.
2013.09.25 -
애플의 10:3:1 원칙
애플에서 새로운 디자인을 할때 원칙으로 10:3:1 원칙이 있다고 한다.10가지의 완전히 다른 디자인의 완벽한 프로토타입을 만들고,그중에 3가지를 추려내고, 그 3가지를 몇달동안 발전시킨 다음,최종적으로 하나의 디자인을 만든다는 것이다.모든 업체들이 적용할 수 있을지는비용과 기타여건상 의문이 들지만,애플의 완벽주의의 단면을 볼 수 있는 부분이라 하겠다. ===================== 또한, 디자인 미팅에서의 원칙이 있는데아이디어를 위한 브레인 스토밍 회의와아이디어를 검증하고 제작해나가는 디자인 회의를 구분하여 진행을 한다. 보통 회의들이 아이디어와 현실검증이 뒤죽박죽되면서,진행이 나가다가 옆길로 새기도 하고,좋은 아이디어가 묵살되기도 하는 일이 발생하는것을 방지하는 아이디어 인듯 하다.
2013.05.02 -
사용자 경험을 통한 마케팅의 시대
제품개발,마케팅,경영 등에서 사용자경험(User Experiece)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사용자경험을 반영한 마케팅의 의미는과거, 기술지향적 시대에서사용자 편의시대로 진화하고,그것들이 사용자 감성시대로 또 진화한데 이어,이제는 사용자의 행동패턴등을 분석하여사용자 본인 자신도 미처 모르는 것들 까지 제품에 반영하는 시대에 이르렀다는 데에 있다. 또한, 그러한 분석들이각종 제품전략에 있어서명확성,연속성,자신감 등을 제시하여제품개발이나 디자인등에서의 전략의 통합역할에 있어서도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2013.04.24 -
멘탈모델(Mental Model)
멘탈모델(Mental Model)이란사용자의 일상이나 업무의 패턴을 분석하여 하나의 모델로 정리하는 일이다.이 모델을 통해 지금 제공하는 서비스나 제품의 기능이 사람들에게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판단하고,향후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2013.04.24